한때 인기 앱테크 수단이었던 ‘발로소득’이 최근 평점 하락과 함께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습니다. 걷기만 해도 소소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었지만, 최근 보상 시스템 개편 이후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발로소득 - 일상이 혜택이 되는 습관 - Google Play 앱
챌린지를 통한 소득과 쇼핑할인까지!
play.google.com
1. 현금 혜택 사라지고, 불만 폭발
2024년 12월 30일, 발로소득 앱은 보상 시스템을 개편했습니다. 기존에는 적립한 포인트를 ‘캐시’로 전환해 모바일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었지만, 변경 후에는 ‘쇼핑 지원금’으로 지급되며 기존 방식의 보상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사용자들은 “핵심 혜택이 사라졌다”라며 실망감을 드러냈고, 앱 평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 리워드 감소, 앱 이용 가치도 하락
보상 시스템 변경과 함께 체감 리워드도 급감했습니다. 과거에는 100원 이상 적립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지만, 이제는 적립 금액이 크게 줄어들어 사용자들이 앱을 이용할 이유가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리워드 감소는 곧 사용자의 이탈로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이용자는 아예 앱을 삭제하는 상황입니다.
3. ‘쇼핑 지원금’ 도입, 사용처 제한에 할인율도 글쎄
새롭게 도입된 ‘쇼핑 지원금’은 앱 내 쇼핑몰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품 다양성이 부족하고, 가격 경쟁력도 떨어진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사용자들은 “다른 쇼핑몰을 이용하는 것이 더 이득”이라며 쇼핑 지원금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4. 경쟁 심화 속 매력 잃은 발로소득
앱테크 시장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발로소득 앱의 리워드 축소와 사용 제한은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더 나은 혜택을 주는 다른 앱들이 많아진 만큼, 사용자들의 관심도 빠르게 식어가고 있습니다.
결국에... 변화 없이는 회생 어렵다
보상 시스템 개편 이후, 사용자들은 등을 돌리고 있습니다. 핵심 혜택 축소, 리워드 감소, 사용 제한이 겹치면서 앱의 매력도가 급격히 하락했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발로소득 앱의 회생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사용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빠른 대응과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참고 자료
- App Store 리뷰: 발로소득 - 일상이 혜택이 되는 습관 - App Store
- Google Play 앱 정보: 발로소득 - Google Play 앱
'IT > 🧐서비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립다운, 광고 없이 유튜브 본다고? 거기에 돈까지 준다고? (0) | 2025.02.13 |
---|---|
폰 켤 때마다 돈이 쌓인다고? 캐시슬라이드 앱 분석 (1) | 2025.02.12 |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Zello 앱을 써보니... (0) | 2025.02.12 |
2090년, 초계급 사회 (0) | 2022.03.17 |
Amp: Host Live Radio Shows(라디오 방송) (0) | 2022.03.17 |
윌라(welaaa) 비즈니스 모델 (0) | 2021.08.05 |
음악 서비스 - 플레이리스트, 재생목록 용어 정리(Usecase diagram) (0) | 2021.07.22 |
서울 지역의 성별 인구 그래프 (0) | 2021.06.05 |